본문 바로가기
  • 생활과 재테크의 모든 것
생활정보이야기

ISA 계좌 일반형 vs 서민형 vs 농어민형! 나에게 유리한 건?

by divesstory 2025. 2. 22.
반응형

ISA 계좌는 가입자의 소득 수준과 직업에 따라 일반형, 서민형, 농어민형으로 구분됩니다. 각각의 유형은 세제 혜택과 가입 요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일반형 ISA

✅ 대상

  • 금융소득(이자·배당 소득 등)이 연 2천만 원 이하인 근로자 및 사업자

✅ 특징

  • 연간 납입 한도: 2,000만 원
  • 세제 혜택:
    • 계좌에서 발생한 금융소득 중 200만 원까지 비과세
    •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는 금융소득은 9.9% 분리과세
  • 의무 가입 기간: 3년 이상

✅ 적합 대상

  • 근로자 또는 사업자 중 금융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일반 투자자

 

2. 서민형 ISA

✅ 대상

  • 총급여 5,000만 원 이하(종합소득 3,800만 원 이하) 근로자 및 사업자

✅ 특징

  • 연간 납입 한도: 4,000만 원 (일반형보다 2배 높음)
  • 세제 혜택:
    • 계좌에서 발생한 금융소득 중 400만 원까지 비과세 (일반형보다 2배 높음)
    •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는 금융소득은 9.9% 분리과세
  • 의무 가입 기간: 3년 이상

✅ 적합 대상

  • 소득이 낮은 근로자 및 사업자
  • 일반형보다 더 높은 세제 혜택을 원하는 경우

 

3. 농어민형 ISA (서민형과 동일한 혜택)

✅ 대상

  • 농업·임업·어업에 종사하는 농어민 (농어업 경영체 등록자 등)

✅ 특징

  • 연간 납입 한도: 4,000만 원 (일반형보다 2배 높음)
  • 세제 혜택:
    • 계좌에서 발생한 금융소득 중 400만 원까지 비과세 (일반형보다 2배 높음)
    •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는 금융소득은 9.9% 분리과세
  • 의무 가입 기간: 3년 이상

✅ 적합 대상

  • 농어업 종사자로 절세 혜택을 극대화하려는 경우

 

4.ISA 계좌 유형별 비교

 

구분 일반형 서민형 농어민형
가입 대상 금융소득 2천만 원 이하 근로자·사업자 총급여 5천만 원 이하 (종합소득 3,800만 원 이하) 농어업 종사자
연간 납입 한도 2,000만 원 4,000만 원 4,000만 원
비과세 한도 200만 원 400만 원 400만 원
분리과세(9.9%) 적용 비과세 한도 초과분 비과세 한도 초과분 비과세 한도 초과분
의무 가입 기간 3년 3년 3년

 

5.어떤 ISA를 선택해야 할까?

일반형 ISA → 금융소득이 연 2천만 원 이하인 일반 투자자
서민형 ISA → 소득이 낮고(총급여 5천만 원 이하) 세제 혜택을 극대화하고 싶은 사람
농어민형 ISA → 농어업에 종사하며 소득이 적은 경우

ISA계좌 총정리

6.결론

ISA 계좌는 가입자의 소득과 직업에 따라 세제 혜택과 납입 한도가 달라집니다. 만약 연 소득이 낮거나 농어민이라면 서민형이나 농어민형 ISA를 선택하여 더 많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금융소득이 많지 않은 일반 근로자라면 일반형 ISA를 활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반응형